며칠 전부터 속이 더부룩하고 쓰린 느낌도 나서 병원을 찾았는데 의사 선생님께서 헬리코박터균 검사를 해보자는 얘기에 검사를 받았는데 양성 판정을 받았습니다.. 저처럼 갑자기 헬리코박터균을 마주한 분들을 위해 정리한 내용들과 직접 겪은 검사와 치료과정에 대해서 정리하려고 합니다.
목차
헬리코박터균이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위 안에 살 수 있는 독특한 균인데요. 위산이 보통 강해서 세균은 위에서 못 버티는데 이 균은 생존력이 강하여 우리 위에 남아있게 됩니다. 이 균이 결국 위염이나 위궤양, 심지어 위암의 원인까지 될 수 있어요.
헬리코박터균 원인?
사실 헬리코박터균은 대부분 어릴 때 감염된다고 하는데요. 가족 간 식사나 식기 공유, 입맞춤 같은 일상적인 접촉으로도 전염이 되기도 하고 요즘은 위생 수준이 많이 올라서 예전만큼 흔하지는 않지만 아직도 꽤 많은 사람들이 감염돼 있다고 합니다.
헬리코박터균 전염, 가족 간 감염 주의
저도 검사결과가 나온 뒤로 제일 먼저 든 생각이 가족도 검사를 해야 하나 싶었는데 가족 간 전염 위험이 꽤나 높다고 합니다. 특히 숟가락 젓가락 같이 사용하는 가정이라면 더더욱 조심해야 한다고 해요. 가능하다면 가족 모두 검사해 보는 게 안전할 수 있습니다.
헬리코박터균 검사
검사는 생각보다 간단한데요 저는 이미 최근에 위내시경 조직검사를 통해 알게 됐지만 그 외에도 숨을 내쉬어 확인하는 호기검사나 혈액검사, 대변 검사 등 여러 방법이 있었습니다. 가장 정확한 건 내시경 검사지만 내시경이 부담스러우신 분들은 호기 검사로도 충분히 확인이 가능하다고 하니 병원에서 상담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헬리코박터균 치료, 약으로 가능?
치료는 약 복용으로 진행되는데 일반적으로 항생제 2종, 위산 억제제를 1~2주 간 복용하는 제균 치료를 합니다.
저는 1차 치료를 일주일간 했고 다행히 제균에 성공했습니다. 하지만 실패를 할 경우 2차 치료까지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약은 정말 꾸준히 빠짐없이 챙겨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헬리코박터균 제균치료 꼭 해야 하나요?
사실 감염이 되어도 평생 아무런 증상 없이 지내는 사람도 있다고 하는데 위염이나 궤양이 있다면 치료를 꼭 권장하더라고요. 특히 위암 가족력이 있거나 위에 문제가 자주 생기는 사람이라면 예방 차원에서 제균치료를 하는 게 좋다고 합니다.
'건강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염에 먹어도 되는 음식 및 좋은 음식 (1) | 2024.02.12 |
---|---|
여드름 흉터 제거 없애는법 (0) | 2024.02.03 |
모공각화증 원인과 증상 치료 (0) | 2021.09.26 |
복근 만드는 방법 운동 (0) | 2021.09.25 |
설사에 좋은 음식 7가지 정리 (0) | 2021.09.24 |
노니 효능 10가지 및 부작용 (0) | 2021.09.23 |
코로나 백신 부작용 심근염 심낭염 증상 (0) | 2021.09.20 |
손톱 갈라지는 이유 원인 (0) | 2021.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