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꿀팁

대상포진 증상과 원인 및 치료방법

반응형

오늘은대상포진에대해서설명드리고자합니다
대상포진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오늘은 흔한 질환 중에 하나로 몸에 면역력이 떨어지고 피로가 쌓인 사람들에게 쉽게 발생할 수 질병인데요.

바로 대상포진에 대해서 원인과 증상 및 치료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대상포진이란?

대상포진은 바이러스가 이럴적에 수두를 일으킨 후 신경 주위에 몸에서 사라지지 않고 남아 있다가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이 떨어질 때 신경을 타고 나와 피부에 발진을 일으키면서 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2) 대상포진의 원인

대상포진의 주된 원인은 고령, 면역 저하제 사용, 이식, 에이즈등으로 인해 면역력이 떨어지게 되는 것인데요. 면역력이 떨어지면, 바이러스가 증식하여 신경을 따라 피부로 다시 나오게 되면서 대상포진이 발생하게 됩니다. 암, 에이즈, 항암치료, 방사선 치료, 이식 후 거부반응을 막기 위해 면역 억제제를 복용하거나 장기간 스테로이드를 복용하는 경우에 면역력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 질병, 사고, 스트레스 등으로 몸의 면역력이 떨어져 대상포진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3) 대상포진의 증상

대상포진은 주로 몸통이나 엉덩이 부위에 생기며 신경이 있는 부위면 얼굴, 팔, 다리 등 어디에서든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의 주요 증상은 통증으로 통증은 몸의 한쪽 부분에 국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아프거나 따끔거리는 느낌의 통증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증상이 1~3일정도 이어진 후 붉은 발진이 나타나며, 열이나 두통이 발생함. 수포는 2~3주 정도 지속되며 수포가 사라진 후 농포, 가피가 형성되고 점차 사라집니다. 통증은 병변이 사라진 후에도 지속될 수 있고 이것이 포진 후 신경통 드물게 수포 없이 통증이 발생하거나 통증 없이 수포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포진후 신경통의 통증이 일반적인 진통제에도 반응하지 않을 정도로 심각할 경우 신경차단술 등을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4) 대상포진 치료와 예방

대상포진 치료는 시기가 상당히 중요한 질환인데 초기증상이 드러난 때부터 72시간 이내에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할 시 완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수포가 발생하였을 때 긁거나 터뜨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터진 수포 내에 세균이 침입하여 2차 감염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방하는 방법은 백신을 통한 예방접종이 가능하며 100%의 예방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충분히 발병 위험을 낮추며 후유증 발생 비율이 낮아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평소에 정상 면역을 유지하기 위해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면역력을 강화하는 게 가장 중요한데요.

5) 대상포진을 예방할수 있는 면역력 강화

면역력강화에대해서
면역력 강화

■ 균형잡힌 영양섭취

- 과일, 채소, 단백질 섭취를 골고루 하셔야 합니다. 또한 밤늦게 먹지 않고, 5시간의 간격의 식사가 좋습니다.

■ 면역 세포 활성화를 위한 충분한 수면

- 하루 7~8시간은 충분한 잠을 자는게 좋습니다.

■ 스트레스 관리

- 명상이나 본인만의 스트레스 해소법을 터득하여 그때마다 푸는 게 가장 좋습니다. 

■ 적절한 강도의 꾸준한 운동

- 가볍게 걷기운동이나, 체조, 산책이 좋습니다.

■ 장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 식이섬유와 프로바이오틱스의 적절한 섭취로 장내 유익한 세균을 건강하게 유지합니다.


오늘은 대상포진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오늘 알려드린 내용을 숙지하셔서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