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오늘은 공무원 육아휴직 급여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요즘 육아휴직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아지면서 저도 관심이 생겨 이것저것 찾아봤는데 정리해서 올려두면 저처럼 궁금한분들께 도움이 될 것 같더라구요.
육아휴직이란?
우선 간단히 육아휴직은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하굑 2학년 이하의 자녀를 둔 부모가 아이를 돌보기 위해 일정 기간 동안 일을 쉬는 제도에요. 공무원도 육아휴직이 가능하고 그 기간동안 급여도 일부 지급됩니다!
공무원 육아휴직 급여 얼마나 받을까?
공무원의 육아휴직 급여는 일반 사기업과는 조금 다르게 계산되는데요.
최대 3년까지 가능하고, 그 안에서 자녀 1명당 1년까지 육아휴직 급여가 나와요.
급여는 어떻게 책정되나요?
육아휴직 첫 3개월은 월 봉급의 80% (최대250만원) 지급 (최저는 70만원까지 보장돼요.)
그리고 4개월차부터 12개월차까지는 월 50만원 정액 지급됩니다.
쉽게 풀이해서 예를 들자면!
월급이 300만원인 공무원이 육아 휴직을 쓴다면 첫 3개월은 240만원씩 지급 (80%)
이후 9개월은 매월 50만원 총합하면 3개월(240x3) + 9개월(50x9) = 1,170 만원정도 받게 되겠죠?
육아휴직 중 경력 인정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시는 부분인데요. 육아휴직 기간은 근속기간에 포함되기는 하지만 승진이나 성과급, 호봉 등에는 일부 제한이 있을 수 있어요. 부처나 기관에 따라 다르니 미리 인사과쪽에 문의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신청방법은?
1. 소속 기관에 육아휴직 신청서 제출
2. 관련 서류 (가족관계증명서, 주민등록등본 등) 준비
3. 인사 담당자가 승인하면 육아휴직 시작!
대부분 출산휴가 이후 바로 연계해서 쓰시는 분들이 많고 남성 공무원 분들도 요즘은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추세에요.
이 글을 요약하자면
- 공무원도 육아휴직 가능!
- 최대 3년까지 가능하나 급여는 최대 1년간만 지급
- 1~3개월 월급의 80% (최대 250만원)
- 4~12개월 매월 50만원 지급
혹시 더 궁금하신 내용이나 직접 경험하신 이야기 있으면 댓글로 소통해도 좋아요!
지금까지 부족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꿀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취준생이라면 꼭 알아야 할 취준생 지원금 총정리 (2025년 기준) (1) | 2025.07.11 |
---|---|
지게차 보조금 신청 방법 및 조건 정리 (2025 기준) (0) | 2025.07.10 |
음식물 처리기 지원금 2025 경기도 총 정리! (2) | 2025.07.09 |
가족돌봄수당 신청 서류, 어떻게 받을 수 있을까? (0) | 2025.07.08 |
실업급여 신청방법 조건 2025 퇴사 후 꼭 확인하세요! (0) | 2025.07.06 |
중소기업 정부 지원금 종류 총정리! 사장님들이 꼭 알아야 할 꿀정보! (0) | 2025.07.05 |
조기 폐차 지원금, 신청 안 하면 손해!? 금액 확인해보기 (1) | 2025.07.04 |
쿠팡 주말 알바 급여 신청 솔직 후기, 꿀팁까지 정리! (1) | 2025.07.02 |